백엔드 (8) 썸네일형 리스트형 [Web] Server의 도우미 NGINX? 서론 이번에 다룰 NGINX를 알고는 있었는데 직접 해보지는 않지만 비슷한 Apache를 써보긴했다.. 그러다가 이번에 한 학교의 서버를 이용한 학과 홈페이지를 만드는 사업을 받게 되었다. 가장 중요한 대용량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 공부를 해야했고 보안으로도 뭔가를 알고 있어야했다. 그렇게 한명 한명을 모아 팀을 만들다가 문득 든 생각은 요새는 프론트엔드와 백엔드가 따로 노는 시대라던데.. Spring Boot 기반으로 서비스를 만들다 보면, 가끔 ‘아, 그냥 jar 하나로 다 끝내고 싶다’ 싶은 때가 많다. 실제로 나도 그랬고, 처음엔 .jar로 프론트와 백엔드를 통합해서 배포했다. 그런데 HTTPS 설정이 발목을 잡았다. Let's Encrypt로 인증서를 발급받고 적용하는 과정에서, 결국 NGI.. [Spring Boot] JPA 하면서 Entity 와 DTO의 변환 관계 서론 DTO랑 Entity 관련 정리를 해봤다최근에 비동기 처리, 스프링부트, 실습 중심의 구조만 만지다가 코드적으로 점점 무뎌지는 게 느껴졌다.“이게 맞나?” 싶을 때, 구현 문제도 풀어보고, 내가 지금까지 써온 코드 방식도 되돌아보는 시간이 필요한 것 같아서 이번에는 실무에서 자주 접했던 DTO와 Entity 변환에 대해 한번 정리해봤다. 특히 이번 방학 때 다시 Spring을 복습과 실습을 하기 위해 위대한 김영한님의 강의도 함께 들을 예정이다. 본론 Entity와 DTO? Entity는 말 그대로 DB랑 1:1로 연결되어 있는 핵심 객체다.JPA에서는 이걸 기준으로 테이블을 만들고, 스키마도 바뀐다. 이게 곧 실제 데이터인 셈.DTO는 다르다.DTO(Data Transfer Object.. FastAPI ( with gRPC를 곁들인.. ) 서론 : Back-end의 본질 ( 주관적 )필요한 API 구축 , 데이터 서버 로직을 관리하며 데이터베이스를 프레임워크를 통해 조건들을 통합시키는 역할또한 신뢰도와 확장성을 얼마나 사용자들에게 안정적으로 시스템을 구축할지 고민하는 사람. ✅ FastAPIPython 3.6+ 기반의 웹 프레임워크비동기(async/await) 기능을 기본 지원자동 문서화 (Swagger/OpenAPI) 내장경량화된 구조로 빠른 개발과 높은 성능을 제공Fast api 는 이름에 api가 있는 것처럼 api를 통해 문서를 생성하거나 어떤 사용자가 정의하는 api를 만들기 위한 파이썬 특화 웹 프레임 워크이다. 파이썬 3.6 부터 지원 가능한 최신적이고 꽤 트렌디한 파이썬 웹 프레임 워크이다. 우리가 대중적으로 파이썬 웹 .. 📚중고 도서 예약 시스템 서론 모든 코드를 모두 직접 구현한 것은 아니지만 실제로 대학교에 사용하는 서비스를 관리한 일지. Firebase의 관리자 페이지는 초대를 받아야함( 구글 email 주소가 필요하다 ! / 담당자에게 연락해야함 ) 기존 학번은 8자리로 진행되어 코드의 조건문을 8자리로 설정하면 되었지만 25학번의 조건을 10자리로 늘려 기존 인수인계 받았던 코드의 수정을 하였음.Firebase의 CLI와 연결하여 FIrebase에 베포하는 법.처음 firebase 버전과 node.js 버전을 각각 사진에 보이는 버전으로 맞춰줘야함. ( 이것들 보다 상위 버전으로 진행할시 firebase 자체에서 node.js가 이 버전 이후로 지원을 안하는 것으로 알고 있음 )Firebase 를 install 하거나 다운하거나 .. Trading View 코인 자동 매매 시스템 ( 1 ) / 구상 단계 서론지금 대학생 신분으로 시험을 치는 기간이다. 힘든 시기를 많이 겪고 있지만 최근 6달 동안 나 자신을 돌이켜 보면 많은 성장을 한 것 같다. 공부한 것들을 모두 정리해서 블로그에 올리고 싶었지만 꽤 소홀하게 한 것에 대해 한 번의 반성을 하고 들어간다,,, 꽤 바쁜 이 와중에 본인 기준(?) 꽤 대형 프로젝트 겸 외주가 들어왔다. ( 블로그에 코드 베포만 아니면 써도 된다고 허락 받음 히히 ^^ ) 바로 Trading View에서 지원하는 기능 중 하나인 Alert을 바탕으로 코인을 자동으로 매매하는 시스템이다. 바로 최종적인 결과물로 가기전에 중간 결과물로 가는 과정이 지금 alert 기반으로 하는 코인 자동 매매 시스템이다. 최종 결과물은 Trading View에서 지원하는 분봉 변화에 따라.. TDD 방법론 이게 뭘까 ? 서론 한 선배가 나에게 예전에 과제를 내주며 " TDD 방법론으로 정리해서 만들어봐 " 라는 말을 하셨다. 난 당연히 이게 뭐지? 하고 다른 블로그들을 봤는데 진짜 무슨 이야기인지 하나도 감이 안 잡혔다. ( 당시 2023년 후반 ) 근데 요새 개발 공부를 하면서 어쩌다 TDD론을 다시 보게 되었는데 보니깐 반가운 단어길래 한 번 알아보았다. 이제 보니깐 어느정도 알아 듣는 이야기였고 이해가 가는 이야기였다. 그리고 간이 프로젝트라도 이 TDD론을 지키려고 하고 있다. 하지만 처음 접하면 이것을 굳이 왜하냐? 라는 생각이 든다. 나 또한 그랬다. 근데 난 몇 년 먼저 하신 분 들이 더 잘 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약간 운동 같은거라고 생각한다. 지금도 건강해서 굳이 운동을 왜 해야하냐? 나중에도 건강하.. [Web] HTTP 와 Method #2 서론 저번 장에서는 HTTP가 무엇인지와 어떤 특징을 뜨는지에 대해서 알아갔다. 이번 장에서는 HTTP의 METHOD에 대해서 써보려고 한다. 아 참고로 핑핑이를 사용해서 쓴 툴은 FIGMA라는 사이트로 아키텍처나 디자인을 할 수 있는 툴이다. HTTP METHOD? HTTP METHOD는 총 8가지로 나뉜다. GET : 데이터를 받는다. POST : 요청한 데이터를 추가 및 작성PUT : 데이터를 갱신하거나 데이터가 없을 때 작성DELETE : 데이터를 삭제 PATCH : 데이터의 일부분을 수정 그 밖에 HEAD, OPTIONS, TRACE 등등이 있다. 이 중에서 가장 크게 대표적으로 쓰는 GET, POST, PUT, DELETE 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HTTP 매써드 - GET .. [Web] HTTP 와 Method #1 #서론우리가 한 번은 컴퓨터를 켜면 http와 www(w3)를 봤던 기억이 있을 거다. 익숙하지만 웹 페이지를 열기 위함에 있어서 중요한 프로토콜이다. 모든 개발자라면 무조건 한 번은 알고 가야 하는 지식이므로 백엔드를 공부를 하면서 정리를 했다. HTTP란?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줄임말로 하나하나 풀어서 설명하면 하이퍼텍스트를 변환하는 프로토콜이라는 직역을 가진다. 맞다.문서와 문서를 통한 링크를 하이퍼 텍스트 문서를 통해서 연결시키는 프로토콜로 웹 페이지를 로드하는 데 사용한다.또 서버와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주거나 받을 때도 사용한다. 프로토콜은 컴퓨터와 어떤 여러 전자 기기가 통신을 보다 원활하게 해주는 약속 같은 것으로 시간과 데이터 형식의 집합체라고도 보면 된다... 이전 1 다음